lsdev -Cc adapter |grep fcs |awk ‘{print “lscfg -vl “ $1}’ |sh |grep -i network
lscfg -vl 1번 필드를 찾아서 fcs 관련한 fcsX 파일의 1번 필드의 네트워크 주소를 또 긁자
#lsdev -Cc adapter |grep fcs |awk ‘{print “lscfg -vl “ $1}’
만 우선 수행하게 되면 다음과 같다.
예를 들어 , fcs가 0~3까지 있다고 가정하자
아답터에는 fscsi(hba card 내 FC)와 ent (NIC ) 등 여러 개가 있다.
현재는 mac 주소를 확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확인한다.
#lsdev -Cc adapter|grep fcs
아래 예시는 fcs0~3 까지 있다고 가정
|sh 로 수행하기 전 우선 어떻게 명령어를 수행할 것인지 수행해본다.
|sh 수행 후 grep으로 network Address만 잡아보기 위해 다시
lsdev -Cc adapter |grep fcs |awk ‘{print “lscfg -vl “ $1}’ |sh |grep -i network
로 한다면fcs 별로 WWPN이 확인된다.
이렇게 하여 SAN 구성(Server - SAN - Storage)인 SAN SW 내에서도 WWPN을 조회할 수 있다.
IBM SAN 명령어로는 #switchshow 로 확인 가능하다.
이를 활용하는 이유는 WWPN 에 맵핑된 SAN쪽의 CRC error count 및 광양체크(Rx, Tx 정상 수치 확인), 또는 rack relocation 또는 랙 이동 작업 시맵핑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시스템 영향도를 파악 할 수 있는 방법이다.
'AIX & VIOS > HW 상태 및 정보 확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HMC의 IP 확인, 방화벽 확인, iperf(네트워크 성능측정) (0) | 2022.06.28 |
---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