혹시나 계정 관련 디렉터리가 삭제되었다면 아무리 접속을 하려고 해도 connection closed 로 된다.
이미 session에 대한 접속을 할 수가 없는 상태다.
etc/passwd를 삭제했으면 당연히 부팅이 안 되므로, 해당 서버에 세션창까지도 열려 있는 경우가 없다면 maintenance 모드로 복구 할 수 밖에 없다.
RHCSA 7 시험의 경우에도 패스워드를 잃어버렸을 때 최초로 리부팅해서 복구시킬 수 밖에 없다.
그러나 세션이 열려 있는 상태라면
백업 솔루션을 활용해서 그전에 있던 정보를 활용할 수 밖에 없다.
그래도 복사를 해놓은 상태고 root를 유지하는 상태이면 복사해서 진행 가능하다. 그래서 export TMOUT=0 의 환경 설정 값이 중요하다.
[리눅스일 때 복구 방법]
/etc/passwd파일이 지워지면 계정조차 없으므로, 서비스에 당연히 문제가 발생한다. Web/was, DB 서버이든 그룹계정이 있는데 그 파일이 날라간거면 심각한 상황.
booting 하면 rescue mode 는 e 키를 눌러서 들어가면 됨
그 후
'OS Unix [IBM aix] > trouble shoot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VIOS 내 VIOClient 신규 구축 시 주의사항 (0) | 2022.06.23 |
---|---|
DLPAR 동적할당(Cpu, mem 증설 및 회수 불가능 시) rebuild the managed system and try again (0) | 2022.06.19 |